지그문트 프로이트(r14)

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:
[주의!] 문서의 이전 버전(에 수정)을 보고 있습니다. 최신 버전으로 이동
분류
지그문트 프로이트
Sigmund Freud
파일:Sigmund_Freud.jpg
본명
지기스문트 슐로모 프로이트
Sigismund Schlomo Freud
성격
변태
학력
빈 대학교 (의학 / M.D.)
1. 개요2. 여담

1. 개요[편집]

엄청난 변태이다. [1]

그와 별개로 정신분석학이나 심리학 역사에서는 뺼 수 없는 중요한 사람이다.

임상 치료(임상 심리학)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론에만 빠삭한 탁상공론형 심리학자가 아니라 실제 환자와의 인터뷰 및 치료 경험이 무수히 많다.

저서 애도와 멜랑콜리아에서 우울증을 감정과 대상에 대한 애도로 정의했다.

현대에 이르러 프로이트 까기가 일종의 유행같던 시기가 있었는데 결국 현재까지 유아, 아동심리학에선 주구장창 우려먹히고 있다. [*

문학과 영화, 회화를 막론하고 예술 분야에 끼친 영향력 또한 지대하다. [2]

2. 여담[편집]

찰리 카우프만의 영화 <이제 그만 끝낼까 해>에서 여주인공의 입을 빌어 “프로이트적인 개소리”라며 언급된 바가 있다. 이와 별개로 해당 영화는 서사 구조와 인물 유형 등에서 상당히 프로이트적이다.

[1] 아동은 달을 보면 어머니의 젖가슴을 연상한다는 등 별 신빙성 없는 개소리도 많이 했지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대표되는 현대에서도 통용되는 접근법 또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제시했다.[2] 국내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에 충실한 작품의 예로는 김기덕 감독의 필모그래피 전부와 박찬욱 감독의 <올드보이>가 있다.
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-NC-SA 2.0 KR;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.